728x90

 

안녕하세요, 그사람입니다.

 

오랜만에 새 주제를 가지고 돌아왔습니다.

잘들 지내셨죠?

 

수급분석 글 이후로 무슨 주제로 써야 하지? 이걸 어떻게 끌고 나가야 하지? 하는 고민이 많았어요.

게다가 현실에서의 삶의 바쁨과 겹쳐서 차일피일 미루고, 미루고만 있었네요.

더 미루면 안될 것 같아 마음을 다잡아봅니다.

 

지금까진 좁은 범위에서 사고, 팔 때 고려해야 하는 것들과 그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면,

이번엔 넓은 의미에서 '그래서 어떻게 살건데? 사고 파는 행위들을 어떻게 구성할건데?'에 대해 얘기해볼까 해요.

 


 

여러분들의 주식계좌는 현재 어떻게 구성돼있나요?

그 전에 여러분들의 자산은 어떻게 구성이 돼있나요?

부동산, 동산, (변액)보험, 적금&저축, CMA(요즘은 파킹통장?이라는 것도 나왔더라구요. 말들은 참 잘 만들어내요. 본질은 변함이 없는데) 등등

 

아마 일반적으로는 크게 이 범주들로 나눠서 자산을 갖고 계실 겁니다. 저같은 경우는 이 중에 부동산은 아직 없고(ㅠㅠ), 주식이 있네요. 그것도 가장 큰 비중으로요. 주식은 투자의 범주를 넘어 자산관리의 영역에도 포함이 될 수 있습니다.

이 부분은 차후 다루도록 하고요,

오늘의 주제로 돌아와서 자산을 이렇게 나눠서 구성해놓는 이유는 다들 아시죠.

리스크 관리, 효율성. 이게 답니다. 이에 대해선 언급할 필요가 없겠죠.

 

주식도 마찬가지예요. 아니, 어떻게보면 주식에서는 이 '제대로 나눠줌'의'중요성이 훨씬 더 큽니다.

주식은 오로지 사고, 파는 행위만으로 모든 걸 관리하고, 만들어가야하기 때문이예요.

 

일반적으로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, 나아가 분할매수/분할매도를 해야 한다 정도는 주린이분들조차 기본지식으로들 갖고 있습니다. 하지만 실제 그 지식들을 활용해놓은 모습을 보면 기가 막히죠...

 

전 개인적으로 이 포트폴리오 구성, 계좌 관리가 주식투자에 있어 가장 선행돼야 하는 파트라고 생각합니다.

하지만 대다수 많은 개인투자자분들은 제대로 된 정보의 부재로 굉장히 단편적이고, 왜곡된 형태로 그걸 실천하고 계시다고 생각합니다.

 

그림과 예시를 한번 볼게요.

 

계좌관리, 주식투자의 시작이자 끝.

 

좌 : 가장 기초적인 포트의 구성, 정배분.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우 :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무분별한 포트의 구성.

A라는 사람은 주식투자에 대한 기본지식(포트폴리오 구성, 계좌관리, 리스크 관리 등)을 갖췄고, 주식에 총 1,000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.

이것을 다섯 개의 바구니(슬랏)로 나눠 한 바구니(슬랏)당 200만원을 최대 금액으로 설정하고 산업별, 종목별 그리고 시장의 사이클을 고려해 종목을 선정했습니다. 그리고 각 종목별 최대 금액 200만원 안에서 천천히 분할매수를 할 계획입니다.

 

B라는 사람 또한 주식투자에 총 1,000만원을 사용할 계획이지만, 정보가 부족한 전형적인 개인투자자입니다.

A와는 달리 B는 포트폴리오, 자산 분배, 계좌관리에 대한 뚜렷한 계획없이 어떤 건 400만원, 어떤 건 300만원, 어떤 건 10만원, 어떤 건 50만원 그냥 그때 그때 기분에 내키는대로, 느낌에 따라 비중을 무분별하게 설정하죠.

 

이 둘의 계좌엔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?

 

A의 경우 총 금액을 5개의 슬랏으로 나누고, 이것을 개별 종목의 최대금액으로 설정한 후 이 안에서 또 개별적으로 분할매수를 할 겁니다. 설정된 총 금액이 같기에 1번 종목이 힘들어지면 2, 3번 종목이 또는 4번이, 5번이 그것을 도와줄 수 있는 구조입니다. 리스크를 본인이 관리하고, 대처할 수 있는 범위 안으로 축소시켜 놓은 겁니다.

 

B를 봅시다. B에겐 분산투자라는 행동, 계좌관리의 개념이 거의 의미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. B의 투자는 오직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2 종목의 성과에 따라 그 성패가 갈립니다. 400만원을 때려넣은 종목이 -10%, 10만원 짜리 종목이 +10%라고 할 때 평가손실률은 같지만 실제 평가손실은 각각 -40만원, +1만원입니다.

이 상황에서 10만원 짜리의 +가 계좌에 유의미한 도움을 주는 행위를 할 수 있을까요?

나아가 계좌관리가 가능할까요?

실력있는 사람이라면 가능하겠지만, 반대로 실력있는 사람은 애초에 이런 상황을 설정하지도 않았을겁니다.

효율은 떨어지고, 리스크는 극대화한 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 

그나마 한 두 종목 몰빵(+신용/미수)이나 종목수 30개, 50개인 백화점 매매에 비하면 이건 양반이긴 합니다만...

 

주식투자를 생각하고 있거나, 할 계획이신 분들은 이 부분을 반드시 염두에 두고 우선 계좌라는 전체 덩어리를 나누셔야합니다.

 

금액에 따라, 실력에 따라, 시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개별 상황에 따라 편차가 존재하지만 우선 처음엔 전체 금액을 3~5개 슬랏으로 나누는걸로 시작해보세요.

그리고 한 슬랏에 한 종목, 한 슬랏은 그 정해진 금액 안에서만 분할매수와 분할매도를 통해 비중을 관리해주는 겁니다.

 

이 작은 관점과 습관의 차이만으로도 여러분들의 투자실력은 수 단계는 올라가는 것이고, 그 성과는 달라질겁니다.

 

맺음말

 

여기까지 오셨다면 자연스럽게 이런 의문이 생기실거예요.

 

'그래, 이렇게 포트구성은 하겠어. 근데 이건 좀 더 계산된거긴 하지만, 일단은 그냥 분산투자일 뿐이잖아. 계좌관리라는 게 이게 다야? 비중관리는 또 뭐고?'

 

궁금하시죠?

계좌관리는 주식투자의 그냥 기본이자 끝이라고 할 수 있는만큼 정성을 다해 시리즈로 이어갈 생각이니 조금만 기다려주세요.

다음 글은 비중관리(분할매수, 분할매도)로 찾아뵙겠습니다.

 

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,

오늘도 살아내느라 다들 애쓰셨습니다. ^^

 

남겨주시는 구독 공감, 댓글은 제가 계속할 수 있는 힘이 됩니다.

+ Recent posts